308D
강연 주제 | KDRA 혁신정책연구센터-AI·빅데이터 활용 바이오헬스 혁신 협의체 2025년도 바이오헬스 정책포럼 <디지털 기술의 신약개발 등 바이오 혁신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방안> |
---|---|
강의 일정 | 2025.08.27(15:10 - 15:35) | 3층 308호 |
소속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연사명 | 김흥열 센터장 |
[주제 세부 소개]
바이오 R&D는 디지털 전환과 AI 활용 확산이라는 흐름 속에서 데이터 기반 혁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둘러싼 글로벌 기술·산업 패권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중요한 이슈로서 다크데이터 누적, 데이터 통합·표준화 미비, AI 기반 플랫폼 부재 등으로 연결성 부족과 혁신 생산성 저하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며, 전략적 전환이 필요하다. 본 강연에서는 바이오 연구개발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데이터 기반 플랫폼 생태계 구축 전략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AI 중심의 R&D 혁신 구조 전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궁극적으로는 생명과학을 ‘기술(Technology)’로 재정의하고, 디지털화된 R&D 사이클을 설계할 수 있는 정책적·전략적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대안 제시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바이오 데이터의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고, AI 기반 통합 플랫폼 전략과 신약개발 밸류체인 내 디지털 적용 사례를 소개하고, 데이터 기반 규제혁신과 플랫폼 구축 방안을 함께 모색하고자 한다.
[연사 소개]
김흥열 박사는 바이오정책 싱크탱크(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오랜 기간 동안 생명공학 분야 정책기획과 전략수립 업무를 수행해 왔다. 「제4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수립을 비롯하여 「디지털바이오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첨단바이오 생태계 활성화 전략」, 「합성생물학 고도화 방안」,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전략」 등 바이오 R&D 정책의 핵심 과제를 기획·조정해 왔다. 최근에는 「생명공학육성법 개정 이행방안 연구」, 「글로벌 바이오 기술 현황 분석」, 「합성생물학육성법 제정」 등 법·제도 기반의 혁신 생태계 조성에도 집중하고 있다. 김흥열 박사는 바이오 분야 중장기 R&D 투자전략 수립, 민관 공동 대응전략, 기술-산업 연계형 플랫폼 설계 등 다수의 정책연구를 주도했으며, OECD BNCT 활동 등 국제협력 네트워크와의 연계에도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