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DRA 마이크로니들융합연구회 2025년도 제2회 세미나
    <마이크로니들 의약품 품질 고려사항>
    2025.08.28(15:00 - 15:30) | 3층 308호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최정윤 보건연구관 상세보기
  • KDRA 마이크로니들융합연구회 2025년도 제2회 세미나
    <마이크로니들 제제의 미 FDA OTC 허가 전략>
    2025.08.28(14:30 - 15:00) | 3층 308호 스몰랩 이진욱 부장 상세보기
  • KDRA 마이크로니들융합연구회 2025년도 제2회 세미나
    <마이크로니들 패치형 BCG 결핵백신 개발과 도전>
    2025.08.28(14:00 - 14:30) | 3층 308호 에스엔비아 김세민 전무 상세보기
  • 308F

    닫기

    강연 주제 KDRA 마이크로니들융합연구회 2025년도 제2회 세미나
    <마이크로니들 패치형 BCG 결핵백신 개발과 도전>
    강의 일정 2025.08.28(14:00 - 14:30) | 3층 308호
    소속 에스엔비아
    연사명 김세민 전무
    연사 및 강연 소개

    [주제 세부 소개]

    결핵은 인류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전염병(Top Killer)이다. 국내의 경우 매년 3만 명의 신환이 발생하여 OECD 1위를 기록하고 있다. BCG는 1921년 최초로 균주가 확립된 이후, 현재까지도 접종이 시행되고 있는 안전한 결핵예방 백신이다. 국내에서는 피내형(무료)과 도장형(유료) 등 두가지 접종방식이 시행되고 있다. 피내형의 경우 효능은 매우 우수하나 10 dose vial 형태로 보급되고 있어 접종 시 오염 위험성 및 정량전달의 어려움이 있으며, 도장형은 접종 흉터가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낮은 면역유도능과 접종량의 불확실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강연은 피내형과 도장형이 가진 장점을 마이크로니들 제형에 접목하여 면역유도능이 우수하고 접종 흉터를 남기지 않으면서도 피내 정량전달이 가능한 single dose형 BCG 마이크로니들 패치 개발 및 효능평가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강연에서는 마이크로니들형 생균(BCG) 백신패치의 제조공정과 애로사항을 중점으로, 피내 백신 정량전달을 위한 마이크로니들 코팅 플랫폼, 기니피그를 대상으로 한 백신 패치의 접종 효능평가, 보관 안정성 등에 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연사 소개]

    김세민 전무는 동아대학교 기계공학과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일반 제조, 정밀화학 및 의료기기 분야에서 다수의 공정구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현재는 에스엔비아에서 신제품 개발 부문을 총괄하며, 마이크로니들 패치형 의약품과 광경화 의료기기 등 첨단 의료제품의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프로젝트관리(PM) 전문가로서, ISO 13485, ISO 9001, ISO 22716 등 다양한 국제 표준과 규제과학(RA)적 관점을 통합하여 의료 분야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개발 프로세스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 KDRA 마이크로니들융합연구회 2025년도 제2회 세미나
    <마이크로니들 기반 종양미세환경 조절 기술 : 최근 연구 동향과 개발 전략>
    2025.08.28(13:30 - 14:00) | 3층 308호 커서스바이오 김재현 선임연구원 상세보기
  • KDRA 마이크로니들융합연구회 2025년도 제2회 세미나
    <마이크로니들 제제 개발 및 IND 승인 전략>
    2025.08.28(11:30 - 12:00) | 3층 308호 메디팁 박양수 대표 상세보기
  • KDRA 마이크로니들융합연구회 2025년도 제2회 세미나
    <마이크로니들 제제의 비임상시험 전략과 고려사항>
    2025.08.28(11:00 - 11:30) | 3층 308호 HLB바이오코드 전태원 상무 상세보기
  • KDRA 마이크로니들융합연구회 2025년도 제2회 세미나
    <마이크로니들 제제의 해외 규제 현황과 표준화의 필요성>
    2025.08.28(10:30 - 11:00) | 3층 308호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조헌제 본부장 상세보기
  • KDRA 혁신정책연구센터-AI·빅데이터 활용 바이오헬스 혁신 협의체 2025년도 바이오헬스 정책포럼
    <디지털 기술의 신약개발 등 바이오 혁신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방안>
    2025.08.27(15:10 - 15:35) | 3층 308호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김흥열 센터장 상세보기
  • KDRA 혁신정책연구센터-AI·빅데이터 활용 바이오헬스 혁신 협의체 2025년도 바이오헬스 정책포럼
    <데이터 기반 스마트 제조 사례>
    2025.08.27(14:45 - 15:10) | 3층 308호 마키나락스 고한승 이사 상세보기